간사이공항→[하루카 특급]→교토 아라시야마 온센 1박→오사카 3박하면서 히메지성, 기요미즈데라 등에서 벚꽃놀이→간사이공항
키노사키 온센은 지난 2018년 오고토온센 여행 때 일본인 친구로부터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 접근성이 떨어져서 그렇지 간사이 지역에서는 아리마온센을 비롯해 최고 수준이라고 한다. 아리마온센은... 2번이나 묵었고, 3번이나 당일치기로 다녀왔기에 이번엔 패스하고, 좀 멀리 잡아 봤다.
벚꽃놀이도 같이 겸하고 있는데, 만개 시점을 고려해서 4월 첫 번째 주 정도로 예상하고 있으나, 아직 항공편이 제대로 안 떴고, 일본 내 숙박시설도 4월 일정이 안 떠서 일단은 대기하면서 키노사키 온센마을의 료칸을 구글맵을 보면서 탈탈 털고 있는 중이다.
몇 달 전에 바닥부가 해져서 샘소나이트에서 유상수리를 받았다. 당시와 같은 안감은 단종이라 다른 거로 기워도 되냐고 해서 상관없다고 하고 수리받았는데, 이번엔 윗단이 해진 거다. 양옆으로 쭉쭉 찢어져나가는 거를 보신 거지.
제주살이 끝나고 집에 가서도 안 바꾸면 나 없을 때에 몰래 갖다버리시겠다는 경고가 여러 차례 있었다.(우리 부모님은 그냥 '경고'는 안 하심. 진짜 갖다버림)
그래서 제주살이 짬짬이 가방을 검색해봤다.
전부터 쓰고 싶었던 게 타거스였던 터라 열심히 검색해서 고민 끝에 TSB968GL를 싸게 샀다. 그런데 막상 받아보니 생각보다 작았다. 내가 큰 가방을 쓴 건지, 아니면 진짜 작은 건지 모르겠더라. 노트북 들어가고 얇은 종이책 2권 정도 들어가면 꽉 참... 아쉽지만 반품비 6,951원을 결제하고 반품을 했다.
그러고 나서 원래 내 가방 크기로 열심히 검색했다. 세로 45cm, 가로 31cm, 두께 14cm
그래서 물망에 올린 게 이것들이었는데 다 조금씩 아쉬웠다.
툴레 크로니컬 31L (세로 47, 가로 32, 두께 33) 세워놓기 어려울 정도로 후줄근. 앞쪽 하드커버 주머니는 장점.
엘레컴 BM-F04XBK (세로 42, 가로 31, 두께 17.5) 너무 까맣고 투박(원래부터 검정만 나옴)
렉슨 TF073GAB (세로 44, 가로 32, 두께 13) 샘소나이트 전에 썼던 건데 전면 보조주머니가 부족.
그냥 다 포기했다.
샘소나이트 레드 쪽이 좋긴 한데, 얘네는 무게를 고려하지 않는다.(너무 무겁다)
그러던 중 우연히 아메리칸 투어리스터 백팩을 접했다.
Zork 2.0 backpack 1 AS를 접했는데, 보조주머니가 2개라는 약간의 아쉬움이 있지만 크기나 재질상으로 상당히 만족스러웠다. 물론 가격대도 올라갔다. 최초 예산에서 많이 벗어났다.(최초 5만원대 → 중반 8만원 전후 → 10만원대)
일주일 정도 고민한 터라 정신줄을 놓아 자포자기 심정으로 결제하려고 하는 찰나!
동일버전의 2 AS 링크사진을 보았다.
오, 보조주머니가 많아졌어!
결국 2 AS로 결제했다.
117,215원에 구입하고 어제 낮에 받아보았다.
아메리칸 투어리스터 Zork 2.0 backpack 2 AS (세로 46, 가로 32, 두께 16)
요렇게 둘둘 말려서 옵니다.영롱한(?) Lenovo 마크입니다.상자에 붙어있는 제품정보 스티커입니다.본체와 어댑터, 2.5" SATA 커넥터, 볼트 4개, 안내서 3장 이렇게 들어있습니다.
원래는 회색 사려고 했는데, PC로 접속했더니 모바일 결제밖에 안 된다고 해서 폰에 앱 깔아서 접속하는 사이에 회색이 품절됐습니다. 판매개시 3분만에요.-_-;; 그래서 아쉽지만 금모래색(=베이지?)으로 샀습니다. 사진상으로는 좀 별로라 생각했는데, 받아 보니 나름 귀티가 납니다.
하판. 뜯기 참 쉽게 만들어놨음.(확장성 매우 좋은 편)
오른쪽 측면에는 SD card 슬롯과 USB 2.0포트왼쪽 측면에는 전원포트, USB 3.0포트, HDMI포트, 데이터전용 C type 포트, 3.5mm 이어폰잭이 있습니다.
아... 그러고 보니 켄싱턴락이 없네...? 어차피 쓰지도 않을 것이지만.
그리고 얘네 특이한 것이 있습니다. 화면 상단에 웹캠이 있는데, 얘는 웹캠 가리개가 있습니다.
저 라벨 위에 스위치 같은 게 보이실 겁니다.
라벨을 떼고, 스위치를 왼쪽에 가만히 두면, 웹캠을 가려줍니다.
스위치를 오른쪽으로 밀면, 웹캠 렌즈가 보입니다.
어차피 웹캠은 안 쓸 거라, 아 이런 게 있구나 하고 다시 라벨 붙여놨습니다.ㅋㅋ
펼친 모양입니다.뒤의 24" 모니터와 비교해보세요.바로 윈도우 설치 들어갑니다.
바로 윈도우 설치 들어갑니다.
구입 전에 설치까지 다 찾아봤는데, 이녀석이 무선랜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안 잡힙니다.
다른 컴퓨터로 레노버 한국 누리집에 들어가서 제품등록 미리 하시고 내려받아놔야 합니다. 안 그러면 낭패 보심... 저도 혹시나 몰라서 옆에 USB무선랜카드 미리 준비해놓았습니다.(넷기어 A6210)
네트워크 접속 없이 OS 설치하세요. OS는 윈도우10, 11 모두 지원합니다.
처음 까실 때에 OS 설치 USB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켜질 때에 F2 눌러서 BIOS 들어가셔서 Security 관련 설정을 Disabled로 바꿔놓고 리부팅하셔야 USB부팅 인식합니다.
윈도우10 설치는 뭐... 10분 정도 걸린 것 같습니다. 그다음에 무선랜 인식하시면 되겠습니다.
제원을 한번 살펴봤습니다.
CPU는 AMD Ryzen5 5500U Lucienne입니다. 웬만한 intel 10세대 계열 CPU(1135~? 계열) 다 씹어먹습니다.
벤치마킹에서도 월등한 성능을 보입니다.
4,5년 충분히 씁니다.
램은 이렇게 뜹니다.
이 제품이 램 8GB로 나옵니다.
온보드 4GB + 슬롯 4GB입니다. 아래는 슬롯의 램만 인식하는 겁니다.
즉, 이건 뭐냐, 나중에 느리다고 생각하면 내가 램만 사서 갈아낄 수 있다는 겁니다.
웹서핑 중에 보니 4GB + 32GB = 36GB로 쓰는 분도 계시더군요.
일단은 뭐 이정도로도 일반용도는 수월하니 그냥 쓰다가 나중에 느리다고 생각되면 16GB 하나 사서 바꿔끼울까 합니다.
무선랜은 바라지도 않았던... Qualcomm Atheros QCA61x4A가 들어가 있습니다. intel AX200까지는 생각지도 않았는데 의외의 물건이 들어가 있네요. Wi-Fi 5까지만 지원됩니다.
위에서 특이한 게... SSD입니다. 궁금해서 CrystalDiskInfo를 실행해 봤습니다.
SSSTC가 어디지??
구글링해 보니, 과거 Lite-On의 SSD 사업부문이었다가 Toshiba의 Kioxia SSD 사업부로 넘어간 회사라고 합니다. 실리콘모션의 칩을 쓴다고 하는데, 귀찮아서 안 뜯어봤습니다.
저장장치는 256GB인데 뭐, 나중에 모자르면 2.5" SATA SSD 하나 더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하판 뜯기가 용이해서요.
터치패드는 좀 짜증이 납니다.
일반적인 터치는 무리가 없는데, 좌우 하단... 좌클릭, 우클릭은 패드가 고장났나 싶을 정도로 꾹 눌러서 써야 해요. 처음엔 불량인 줄 알았습니다. 꾹 누르면 딸깍 소리가 나요. 그러면 인식된 건데, 진짜 뭐 진흙 수렁에 한없이 빨려들어가는 느낌으로 눌러야 합니다.-_-;;
무게는... 포터블의 한계 기준이 1.5kg이라고 하는데, 이 1.39kg는... 정말 애매한 무게입니다. 무거운지 가벼운지 딱 그 중간에 있습니다. 그나마 플라스틱이라서 가벼운가...
사운드는 좀 의외입니다. 개나소나 온보드용인 리얼텍이죠. ALC3287이 들어갔는데, 당연히 안 바라죠. Sound Blaster에 길들여지면 그 외에는 다 '개나소나'가 됩니다. 그.런.데....
아... 이녀석이 노이즈캔슬링과 돌비를 지원합니다.
무선이어폰으로 들으니 놀라운 음장효과가 나옵니다. 꽤 들을만 합니다.
그리고 당황했던 것 하나...
내가 분명히 외출할 때에 끄고 덮개 덮고 나갔는데, 집에 와서 노트북을 켜려고 덮개를 올리니 이녀석이 자동으로 켜지는 겁니다. 몇 번을 다시 해도 이모양 이꼴... 화면이 잘못 만들어졌나, 버튼이 잘못 만들어졌나...
아... 망했다. 뽑기 운이 없었네... 반품해야 하나 싶었는데, 검색해 보니, 레노버 BIOS에 있는 기능이랍니다.
안 쓸 거면 BIOS-Configuration 에서 Flip On 기능을 해제하시면 됩니다.
일단 가격이 깡패라 HP fq2021au랑 한참 고민하다가 이리로 왔습니다.
AS는 극악이라 바라지도 않고, 그냥 잘 돌아갔으면 좋겠습니다.
세부 사양은 이렇습니다.
CPU AMD Ryzen5 5500U
RAM 8GB (온보드4+슬롯4)(슬롯은 다른 램으로 변경장착 가능)
SSD 256GB NVMe (변경장착 가능하고, 추가로 2.5" SATA 슬롯 있음)
Wi-Fi 5, Bluetooth 4.1
1.39kg
324.2 x 215.7 x 19.9mm
배터리 38Wh(조루라는데?)
65W 어댑터
2년 보증(전체 1년+보드 등 핵심부품 1년으로 2024.02.까지로 뜸. 제품등록시 영수증 첨부 제시하면 확인 후 구입일로부터 2년 보증 적용)
레노버의 하급 라인이지만, CPU도 중급기가 들어갔고, 램과 SSD 확장성이 좋다는 것, 가격이 좋다는 것.
책 겉장의 작가 소개에 보면, 작가는 일본에 200번을 다녀왔다고 한다. 그래서 꽤 존경심을 갖고 읽기 시작했는데, 그 정도의 수준에서 쓰여진 책은 아니라는 게 책을 덮는 시점에서 느낀 점이다. 다른 나라 소개서는 대부분이 자기가 본 방향에서 자기 생각만 쓰여진 게 대부분이라서, 정말 폭넓게 다독과 정독을 병행하지 않으면 실체를 잡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정말 단편적인 몇 가지 내용만 가지고 다른 나라, 특히 일본을 판단하는 것은 정말 위험한 일이다. 고대부터 우리 민족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이 정도의 문화 소개서 같은 책을 쓰려면 전후사실관계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써 줘야 맞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일본관계 서적, 전문서, 논문까지(특히 문화, 역사, 생활 전반) 다독과 정독을 병행해서 읽은 나로서는, 읽으면서 헛웃음만 나는 부분도 많았다. 이게 일본 소개 서적인지, 혐일 서적인지 알 수 없는 내용부터, 주제를 알 수 없는 엉뚱한 발언까지 등장하고, 급기야는 독자에게 잘못된 지식까지 전달하고 있어, 이 책을 대체 왜 썼는지 모를 정도였다.
몇 가지 짚어보자. 재일동포가 북한 국적이라고? 이건 어디서 들은 말일까?? 방송사 피디라는 양반이 미디어도 접하지 않은 것인가. 몇 년 전 모 방송사에서 축구선수 정대세를 인터뷰한 내용 중에도 있었다. 기자가 '당신은 왜 북한 대표로 뛰었습니까? 북한 국적자입니까?'라고 물었는데, 그는 당당히 조선 국적자라고 말했다. 한국 대표로 뛸 수도 있었지만 나를 받아준 곳이 북한이어서 북한 대표로 뛴 거라고.
그렇다. 재일동포는 조선 국적자다. 한국과 북한은 이념으로 갈라진 국가 구분이어서 그것을 선택하지 않고 그 이전 시대인 조선을 선택한 것이다. 다른 학자들이 쓴, 수많은 일본 관계 서적을 찾아봐도 다 그렇게 되어 있다. 사실을 검증하고 쓰지 않은 책은 독자들에게 큰 혼란과 오해를 안겨줄 뿐이다. 이 부분이 가장 큰 옥에 티였다.
그나마 가장 잘 쓴 부분은 정치, 경제 부분이다. 지면상 다 못 적은 부분도 있는 것 같은데 비교적 바로잡힌 관점에서 쓰였다. 하지만... 감정이 너무 실려 있어서 보기 안좋았던 부분도 있다. 또한 일본민족의 특성과 관련한 그들의 코로나 대처 방식에 대해서도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내용을 종합해서 비난 일색으로 사실을 나열했을 뿐, 이게 어떤 상황과 관련이 있는 건지 뜬금없는 부분이 많았다.
그러다 보니 챕터별로 썼다기 보다는 본인 감정의 흐름대로 나열했다고 보여지는 부분이 책 전체에 퍼져 있다.
그리고, 글 쓰는 방법은 좀 고치셔야 할 것 같다. 온라인에서 유명한 사람이라고 하던데, 그것과 글쓰기는 엄연히 다른 영역이다. 마치 대화하듯이 명사로 끝나 버리는 종결형이 너무나 많다. 한참 몰입해 있는데, 정상적인 종결어미나 서술격조사로 끝나지 않고 문장을 마무리해버린다든가, 입으로 말하던 방식 그대로 조사를 빼먹은 문장을 남발한다든가. 당신은 편할 지 모르겠지만, 독자 입장에서는 가독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부분이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에 새로 접한 정보만 감안해서 별 5개 만점에 2개 준다.
일본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싶고, 더 깊이 이해하고 싶다면 이 책은 추천하지 않겠다. 일본에 17번 다녀온 나보다도 더 일본을 모르는 사람이다. 여행은 다녀올 때마다 궁금했던 점을 찾아보고 보강해서 그 다음에 나가는 게 맞는 거다. 이 저자는 200번을 다녀와서 그거로 끝내는 게 아니라 보강학습을 해야 하는데 그런 측면은 보이지 않았다. 본인 스스로가 '덕후'라고 칭하는데, 푸훗... 그 정도는 아니다.
수박 겉핥기식으로 호도하는 내용이 많아 권하고 싶지 않다. 관련된 다른 책들을 많이 읽은 다음에 이 책을 읽기를 권한다.
아무리 관심분야 책이어도 내용이 별로면 본 뒤에 바로 알라딘 중고서점에 팔아버리는데, 이 책도 그 부류에 들어간다.
베어본이다 보니 점검할 수 있는 게 한계가 있죠. 하여튼 할 수 있는 데까지 해 봤습니다.
1. 연결선 다 뺐다가 끼고 전원인가했으나 여전히 조용함.
2. 어댑터 체크하니 정상
3. RAM 지우개 신공으로 1개씩 바꿔끼우면서 해 봤으나 여전히 안 됨.
모든 증상이 전원단 문제였습니다. ITX 보드에 외장 어댑터인데 어댑터가 정상이니 메인보드 고장이라고 확신했습니다.
이미 보증기간이 지난 터라, 유통사(에즈윈)에 연락해 보니
수리가 아니라 부품 맞교환이더군요. ITX메인보드 맞교환비는 70,000원에 왕복택배비 본인부담이라서, 그냥
새로 부품을 샀습니다.
기존 부품 중 몇 개는 활용할 거라 그에 맞춰서 사게 되었습니다.(CPU, SSD, M.2 무선랜카드)
CPU 쿨러는 내 PC의 순정쿨러(Ryzen5 레이스쿨러)가 있어서 그거를 쓰기로 하고요.
RAM 삼성전자 DDR4-3200 8GB 메인보드 ASUS Prime A320M-K 대원CTS 케이스 앱코 Ncore Nbox 탱고 - 크기는 최대한 작게 하느라 전원공급장치 잘만 Wattbit II 400W - 지금 잘만 500W 쓰고 있는데 꽤 쓸만해서 이번에는 잘만 사용.
------------------ 합 택배비 포함 154,800원
거기에... intel AX200NGW 무선랜카드를 그대로 활용하려다 보니 PCI-e 어댑터가 필요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