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M PM2.5 초미세먼지 차단필터만 90일에 1회씩 교체해 왔다. 최근에만 주행이 거의 없어서 조금 지나서 오늘 갈았다.
90일째까지, 제주도와 지방을 2천km 가까이 다니고 몇 달간 세워놨을 때에 엄청 깨끗했는데, 오늘 보니 한 달만에 시커맸다. 그래서 오늘 바로 갈았다. 기껏해야 500km 탄 건데. 도심이 확실히 먼지가 많다.
3M PM2.5필터가 단가가 상승하여 다른 제품을 눈여겨 보게 되었다.
어차피 90일에 한 번씩 교체하니까 상태가 정상? 표준?에 가까우면 된다고 생각하고 눈여겨 본 게 있다.
필터 기능이 다 정상이라는 조건 하에 갖고 있는 4종을 비교해봤다.
첫 번째로 보는 게, 필터의 주름 개수다.
주름이 많은 게 좋은지, 적은 게 좋은지 모르겠으나, 먼지 필터링을 감안하면 주름이 많은 게 낫지 않을까.
아래 사진은 3M PM2.5 초미세먼지 차단필터이다. 주름의 개수는 36개다.
두 번째, 필터의 두께다.
몇몇 회사들이 필터 두께를 얇게 하여 제작단가 줄이기를 시도하는 것을 봐서, 그런 필터 회사 것은 샀다가도 버리는 경우가 가끔 있다. 앞, 뒤쪽 두꺼운 종이 재질만 필터 공간 높이 규격에 맞게 하고 필터는 중간에 붕 떠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겠지.
사진은 3M PM2.5 초미세먼지 차단 필터다. 이게 현대모비스 납품물건이므로, 이걸 표준에 놓고 본다. 필터 앞, 뒤 골판지와 필터 주름 사이 간격이 1mm다.
골판지 높이가 17mm니까, 그거보다 위아래로 1mm씩 작으면, 필터의 두께는 15mm여야 한다.
그래야 어느 정도 필터링이 될 거라고 믿는다. 필터 삽입 공간에 꽉 들어차니까.
이런 거를 다 살펴서 지금 갖고 있는 4종의 필터를 비교해보았다.
누가 우리필터가 가성비가 좋다고 해서 1팩(3개)을 샀는데,
받아본 날이 마침 교체시점이라 뜯어서 교체하다가 열받아서 한 장을 그냥 버렸다.
왜냐면 저 두께가 문제였다. 앞뒤 골판지는 필터 장착 공간과 딱 맞는 17mm인데, 필터의 두께는 터무니없이 얇았기 때문이다. 그때는 정확히 재어 보지 않았지만, 수 년간 손에 익은 게 3M 필터다 보니 느낌이 확 달랐다. 눈으로 보아도 그렇고.
아직 두 장이 남았는데, 이 두 장이 위아래의 남는 공간폭이 다르다. 들쑥날쑥이다.
위쪽 여유공간은 1mm, 아래 여유공간은 2mm.
그것도 어떤 데는 1mm, 어떤 데는 2mm.
대충 만드는 것 같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유일필터는 제조사 누리집에 보면 순정규격으로 납품한다고 되어 있다. 또한 활성탄필터는 대부분이 탈취 목적으로 사용하는 거라 먼지 필터링 등급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나는 그래서 안 씀. 국민지원금 남아서 털어버리려고 단골 정비소에서 비싸게 주고 2개 샀음. 더 사려고 했는데 사장님이 그냥 인터넷에서 사서 쓰라고 판매거부. 자주 교체하면서 이렇게 비싼 거 사서 쓰지 말라고.^^;)
필터의 주름이 많은 게 먼지 필터링에 많이 도움이 된다면,
가격 대비 가장 좋은 것은 오토라인테크놀로지(주)의 제품이 아닐까 싶다. 필터가 얇으면서 개수가 많으면 두꺼우면서 필터 수가 적은 3M 제품과 비슷한 성능을 뽑아내지 않을까 싶다.
뭐, 어찌됐든, 비전문가의 생각임.
판단은 사용자의 몫.
지금 남아 있는 것은
유일 활성탄필터 1장
우리필터 2장
오토라인 필터 3장 하여 총 6장이 남았다. 오늘 새로 갈았으니까 아직 630일(약 1년 9개월)치를 쌓아놨다.
네이버 블랙박스 수사대 카페(네이버카페 bbcsi)에 들어가 있다 보면, 블랙박스를 기백만원 주고 달았다는 사기 관련 글이 종종 올라옴...
답답할 때가 엄청 많음....
블랙박스가 고장났으면 제조사에 연락해야지, 왜 용품점에 가고, 카센터에 가서 당하는지 모르겠음.
제조사 망했으면 새로 사서 새로 달으시고 기사님께 탈착해달라 해서 버리면 됨.
전형적인 사기 수법이 이러함.
사용자가, 블랙박스가 녹화가 안 된다든가, 또는 이상증상이 나옴을 확인.
카센터나 용품점 같은데 가서 봐달라고 함. 그러면 듣보잡 블랙박스를 AS 5~6년에 메모리카드는 주기적으로 바꿔준다고 하면서 150~200만원 정도 내라고 함. 요즘은 블랙박스용 보조배터리까지 덤으로 얹어서 이 짓거리 많이 함. 다~ 사기임.
왜 사기냐고? 그만큼 돈이 안 들거든.
1. 블랙박스 가성비 좋은 급으로 17~23만원이면 삼. 제조사 AS 다 됨(보증기간 1년이나 그 이후 문제도 보내면 비교적 저렴하게 실비 수리됨) 2. 블랙박스는 큰 전기적 충격 있지 않는 한 5년을 써도 멀쩡함. 3. 내꺼 파인뷰 5년 쓰고 지겨워서 바꿨음. 중간에 센서이상으로 AS 받았는데 3만원도 안 들었음. 4. 메모리카드는 5년을 써도 멀쩡함. 정 불안하면 1개월에 한 번씩 뽑아서 컴퓨터에서 포맷하고 끼우자.(기기 자체에서 포맷 지원하는 블랙박스도 많음) 5. 가장 호환성 높은 메모리카드micro-SD 삼성제품 128GB 기준 개당 15,000원 정도면 삼.
6. 블랙박스용 보조배터리도 찾아보면 알겠지만 그만큼 안 비쌈. 뭐 얼마나 쓴다고 달아. 내 주변에 블랙박스 달고 보조배터리 단 사람 몇 못 봤음. 지인 중에 회사 주차장이 그지같아서 보조배터리 없이 하루종일 켜놓는 분도 있는데 방전된 적 한 번도 없음. 나는 카오디오 풀튜닝에 블랙박스도 2개나 달려있는데 순정배터리 하나로 잘 버팀. 보조배터리 없음.(사실 난 상황에 따라 껐다 켰다 하지만...ㅋㅋㅋ)
블랙박스 장착 후 사용하다가 뭔가 이상하면 1. 본인이 증상 확인해보고 2. 제조사를 찾아서 as센터가 존재하면 3. as센터에 문의하고 탈착 후 택배로 보낸다. 4. 고치기 전에 분명히 연락 옴. 뭐가 고장났는데, 수리비 얼마니 고칠 거냐, 아니면 말 거냐. 5. 돈 내면 고쳐서 보내줄 거고, 아니면 그냥 버려달라고 한다. 6. 인터넷(다나와 등)에서 사고싶은 거 골라서 결제하고 장착비 포함으로 하면 장착기사님한테서 해피콜 옴. 탈착비 1만원이고, 국산차 장착비 3만원, 수입차 장착비 5~7만원선.
블랙박스도 어차피 소모품이라, 살 때 확실한 회사 것들(큐알온텍, 파인뷰, 아이나비, 만도 등등)로 마음에 드는 거 사서 쓸만큼 쓰면 됨. 난 블랙박스 개뿔도 몰라, 잘 찍어주기만 하면 돼~ 라면, 다나와 같은 가격비교사이트에서 가격대 설정해서 나오는 상위 1~10위권에서 골라서 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