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을 꼽다 (X)

선을 꽂다 (O)

국어사전 좀 찾아보고 쓰세요.

------------------------------------------

유선 이지메시를 구성할 때에 LAN선을 어디에 꽂는지 몰라서, 그리고 무작정 선을 꽂으면 되는 거냐고 문의하는 분들이 많아서 그림으로 올려드립니다.

기존 이지메시 구성에서 ipTIME A804NS-MU를 추가 에이전트로 설정하는 작업입니다.

이 순서대로 하시면 문제 없습니다.

 

1. 컨트롤러 공유기에 랜선 꽂기

현재 컨트롤러는 ipTIME T5008입니다.

사진처럼, WAN포트는 인터넷 메인 선이 꽂히는 곳입니다. 공유기별로 1개밖에 없죠.

그 외의 나머지 포트들이 LAN포트입니다. 여기에 현재 사용하는 유선기기들의 랜선을 꽂으시면 됩니다.

ipTIME 기기들은 LAN포트에 점을 음각으로 새겨놓았습니다. 점 1개, 점 2개, 점 3개 이런 식으로요. WAN포트는 음각 무늬가 다릅니다.(아래 에이전트 기기 사진 참조)

이지메시 에이전트 기기에 연결할 랜선도 이 LAN포트 아무데나 꽂으시면 됩니다.

 

2. 유선에이전트 연결하기

두 번째로 하실 일은, 아까 컨트롤러에 꽂은 랜선을 유선에이전트로 쓸 공유기에도 꽂아줍니다.

WAN포트와 LAN포트 음각 기호가 확연히 다르지요?

절대로 WAN포트에 꽂으시면 안 됩니다. 그러면 별도의 인터넷신호가 들어오는 거로 인식되어 ip 중첩 등으로 Wi-Fi 작동이 안 되고, 이지메시 구성이 불가능합니다.

LAN포트 아무 데나 랜선을 꽂아줍니다.

아, 물론 공유기 전원선도 꽂으셔야 합니다.

3. 공유기 환경설정에 들어가기

이제 컨트롤러의 공유기 환경설정에 들어갑니다.

보통 192.168.0.1입니다.

사용하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공유기 로그인창이 뜹니다.

로그인 이름과 암호는 절대로 공유기 초기 설정(이름 admin / 비밀번호 admin)으로 두지 마세요. 다 털립니다. 이름과 암호는 꼭 본인만이 아는 것으로 바꾸세요.

로그인하시면...

이렇게 뜨죠. Easy Mesh를 클릭해 들어가시면 됩니다.

 

4. 이지메시 설정창에서 공유기 추가하기

위의 1, 2의 작업으로 공유기가 정상 연결되어 있다면 이지메시 설정창에 아래처럼 A804NS-MU가 뜨고, 공유기 그림 아랫부분에 빨강바탕에 흰색 '+' 기호가 뜹니다. 그걸 눌러주세요. 에이전트 추가가 시작되는 겁니다.

그럼 이런 식으로 팝업이 생겨서 해당 공유기를 에이전트로 등록합니다.

소요시간 약 1분입니다.

이제 완료되었습니다.

 

기기가 추가된 것이 확인됩니다.

 

ipTIME의 유선이지메시 구성은 모두 같습니다.

익스텐더를 이지메시로 쓰는 경우는 익스텐더의 포트가 1개이니 그곳에 컨트롤러에서 나온 랜선을 꽂으시면 됩니다.

환경설정은 익스텐더도 일반 공유기와 같습니다.

 

현재까지는 유선이지메시가 가장 안정적입니다.

또한 메시 구성은 집집마다 구조와 설치패턴이 달라서 딱 이거다 하고 정해진 규칙은 없습니다.

 

어떤 기기가 이지메시를 지원하고, 어떤 세부기능을 지원하는지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셔서 좋은 기기 고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ipTIME 기기 중 이지메시 지원 기기 목록 : http://iptime.com/iptime/?page_id=67&uid=23875&mod=document 

ipTIME 공유기제품군 기기 비교표 : http://iptime.com/iptime/etc/diff_prd.php

2022.07.01. 현재 이지메시 구성 추천 기기입니다.

최근에도 궁금증이 있어 대해 몇 가지 테스트를 거쳤고, 중간에 공유기가 다른 이유로 고장나 AS를 받았는데, 이제는 대략 구성이 잡혔습니다.

 

ipTIME Easy MESH의 우선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메시 구성의 기본 대원칙은 '제조사가 같아야' 합니다. 그 다음, 이지메시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iptime은 여기를 보세요 : http://iptime.com/iptime/?page_id=67&uid=23875&mod=document 

2. 통신사 모뎀이 들어와 있으면, 그 아랫단에 컨트롤러를 연결하여야 합니다.

    저희 집처럼 통신사 모뎀이 없으면, 랜선 첫단에 컨트롤러를 연결하면 됩니다.

3. 유무선공유기를 2대 이상 쓰신다면 두 기기의 성능이 엇비슷해야 합니다.

  - 그래야 무선기기가 이동시 공유기를 이동해 신호를 받아오는 게(=로밍) 잘 됩니다.

4. 유선MESH가 무선MESH보다 안정적입니다.

 

그래서 ipTIME 기기를 활용한 유선이지메시 구성의 추천기기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가용면적은 34평형(112㎡)(전용면적 27평, 89㎡) 의 아래와 같은 구조일 때로 가정하며, Wi-Fi 5 규격으로 합니다.

아직까지 Wi-Fi 6 규격은 개발 자체가 난립(?)이라 딱히 추천할 만한 기기가 없습니다. 뭐 얼마나 많이 Wi-Fi 6을 쓴다고...

이지메시는 집 구조에 따라 무선신호의 방사 자체가 많이 다르기 때문에 직접 적용해서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봐야 합니다.

위 도면에서 '내 방'과 '거실'에만 에이전트를 놓는 이지메시입니다. 단자함은 현관 오른쪽 벽에 있으며,

방별 랜포트는 사전에 개방 공사를 했습니다.

 

[100Mbps 환경]

컨트롤러 T5004 또는 T5008

에이전트 A804NS-MU 2개

       또는 A804NS-MU 1개와 Extender A3MU 1개 조합

A804NS-MU가 퀄컴CPU를 써서 안정적이고 준수한 성능을 냅니다. 속도는 AC1350입니다.

Extender A3MU는 미디어텍CPU를 쓰는 증폭기이지만 에이전트로 써도 충분히 제 몫을 다 합니다. 무선기기 6대가 물려도 속도하락 없이 잘 작동합니다. 속도는 AC1200입니다.

AC1350과 AC1200 차이면 무선기기 이동시 로밍이 원활해집니다.

 

[기가인터넷 환경 및 100Mbps지만 그냥 나중을 대비해서 쓸래요]

컨트롤러 T5004 또는 T5008 또는 A3004NS-M

에이전트 A8004ITL 단독

       또는 A8004T 단독

       또는 A3004NS-M 2대

A8004ITL은 AC2600이고 인텔CPU에 램이 512MB라 접속 대수가 많을 경우 유리해집니다. 저 환경에서는 A8004ITL로 구석방은 약간 신호가 떨어지지만 무리 없이 이지메시가 가능했습니다. 현재는 단종이라 ipTIME 공식 리퍼몰에서만 구할 수 있습니다.

A8004T는 AC2600이지만 미디어텍CPU에 램이 256MB라 A8004ITL에 비해 성능은 다소 떨어지지만, 현재도 고성능 제품군입니다.

또는 A3004NS-M 2대로 구성하셔도 좋습니다. AC1300, 램 256MB으로 비교적 평범(?)하지만, 이지메시 개발 초기 시점부터 컨트롤러로서 발군의 성능을 발휘한 기기입니다. 이것과 비슷한 급으로 A3004TW가 있으나, 램이 반토막이고 USB 포트가 없습니다. A3004T는 이것과 동급인데 가격이 좀 센 편이죠.

 

섞어서...

 

컨트롤러 T5008

에이전트1 A8004ITL / 에이전트2 Extender A3MU

이렇게 써 봤더니, 에이전트2에서 에이전트1로 로밍이 제대로 안 되고 이동시에 무선신호가 끊어지는 현상이 잦았습니다.

ipTIME 측의 기술지원 부서 답변으로는, 두 기기가 성능이 비슷하지 않아서 센 신호 쪽으로(또는 그 반대로) 로밍이 안 되는 거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AC2600과 AC1200의 차이죠.

여기서 에이전트2를 A804NS-MU(AC1350)로 살짝 높은 급으로 바꿨더니, 로밍이 비교적 수월해졌습니다.

 

A8004ITL이 AS 간 사이에,

컨트롤러 T5008

에이전트1 A804NS-MU / 에이전트2 Extender A3MU

이렇게 바꿔봤는데, 로밍이 잘 됐습니다. AC1350과 AC1200은 비슷한 급이니까요.

 

이지메시 구성은 집집마다 구성이 다르고, 전파 방사가 다 다릅니다.(집 구조가 같아도 다르기도 함)

그래서 일단은, 쓸만한 기기를 지정하고

기기가 확보되면 여러가지 유형으로 테스트해 보시고 최적의 위치를 찾아보시기를 권합니다.

 

현재 저희 집 구성은

컨트롤러 T5008

에이전트1 A8004ITL / 에이전트2 A804NS-MU

이며, LG U+ 광랜19(100Mbps) 요금제 사용중입니다.

 

네이버 공유기 사용자모임에 가도 일반적인 원칙을 제시해드릴 뿐이지, 실제 구성과 배치는 오롯이 본인의 몫입니다.

요즘 이지메시 Wi-Fi 구성이 유행하다 보니, 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무작정 구축하다 시행착오를 겪는 분이 많아 간단히 요약해 봅니다.

보통 집에 공유기 1개만 설치했을 때에 방의 구석진 곳에서 Wi-Fi 신호가 약하면 공유기를 하나 더 들입니다.

이지메시는 이런 것을 매우 간편하게 통합해주는 기능이 있어 유용합니다. '이런 것'에 대해 알기쉽게 풀어 봅니다.

 

34평형(전용면적 27평형) 아파트 도면입니다. 마름모 모양이 공유기입니다. 거실이 메인이라 가정합니다.

보통은 거실 TV 옆에 듀얼 유무선 공유기를 설치해 쓰는데 서재나 내 방, 안방에서 Wi-Fi 신호가 약하거나 끊기면 그 자리에 공유기를 설치하거나 증폭기(익스텐더)를 답니다.

 

일단 익스텐더는 비추천합니다. Wi-Fi 신호를 넓고 얇게 펴 줍니다. 즉, 멀어질수록 끊기는 건 똑같다는 겁니다.

공유기를 각방 포트에 위 도면처럼 연결했습니다.

(신축아파트는 단자함도 신형이라 저렇게 각방 포트를 쓸 수 있는 게 가능합니다. 구형아파트는 단자함도 구형(100블럭 방식)이라 단자함에 허브를 넣는 공사가 필요합니다)

 

거실을 메인으로 해서

내 방, 서재, 안방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만든 겁니다. AP란, 메인의 Wi-Fi 신호를 중계해 일정하게 특정 공간에 뿌려주는 장치입니다. 익스텐더랑은 기능이 좀 다르죠. Wi-Fi 신호가 엷어지지 않거든요.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생깁니다.

이 집 거실에서 폰을 켜서 Wi-Fi 신호를 잡으면, 이 집의 Wi-Fi 신호는 총 몇 개가 뜰까요?

듀얼 유무선 공유기면, 공유기 4대×Wi-Fi신호 2개=총 8개가 뜹니다.

왜인지 설명하겠습니다.

각 공유기마다 2.4GHz 1개, 5GHz 1개가 나옵니다. 총 4대니까 Wi-Fi 신호는 총 8개가 나옵니다.

불편한 점은, 내가 거실에 있다가 내 방으로 들어가면, Wi-Fi가 끊깁니다. 내 방 공유기의 Wi-Fi 신호 2개 중 하나를 택해야 합니다.

다시 내 방에서 거실을 지나 서재로 가면, 그 방 공유기의 Wi-Fi를 내가 무선으로 또 잡아줘야 합니다.

폰에 뜨는 이 Wi-Fi 신호의 이름 각각을 SSID라 합니다.

무선AP로의 설정방식은 이렇게 SSID가 많아지는 문제가 생깁니다.

여기서 공유기 4대의 SSID를 같은 이름으로 한다? 그래도 상황은 같습니다.

 

이걸 하나로 통합해 주는 게 이지메시입니다.

(Easy MESH. 공유기 제조사마다 부르는 이름은 조금씩 다름. ipTIME은 Easy MESH라 함) 새로 생긴 기술은 아니고 전부터 존재하던 건데 편하게 만든 거죠.

 

공유기 제조사가 모두 같아야 하고, 공유기가 이지메시를 지원해야 합니다.

메인 단에서 신호를 받아 각 공유기로 신호를 뿌려 주되 SSID를 1개로 만들어서, 어느 위치에 이동하나 끊김 없이, 수동수신 없이 Wi-Fi를 이용하는 겁니다.

공유기에 가까운 곳에는 회절성이 적고 센 신호(5GHz 같은)를 붙여 주고, 약간 먼 곳에는 회절성이 높고 다소 약한 신호(2.4GHz)를 자동으로 붙여줍니다.

내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그쪽 공유기로 신호를 자동으로 이어주는 로밍 기능까지 같이 갖고 있는 겁니다.

 

저 상황으로 다시 돌아가겠습니다.

메인 선이 거실로 들어오고, 거실 공유기가 메인이 될 겁니다. 이걸 '컨트롤러'(controller)라고 합니다.

ipTIME Easy MESH 환경설정 창에 들어가서 컨트롤러 밑에서 공유기 찾기를 누르면 하나씩 찾아서 컨트롤러 밑에 등록을 시킵니다. 컨트롤러에 종속되는 하부 공유기입니다. 이걸 '에이전트'(agent)라고 합니다.

이런 식으로 설정하시게 되면 이 집의 SSID는 1개로 통합됩니다. 이 SSID 안에 2.4GHz와 5GHz 신호가 혼재합니다. 이걸 공유기가 랜덤으로 무선을 사용할 기기에 붙여주는 게 MESH의 기본입니다.

위 그림은 현재 저희 집입니다. 맨 위 도면도 저희 집입니다. 유선이지메시로 구성한 겁니다.

실제로는 거실에 유선에이전트1이 있고, 제 방에 유선에이전트2가 있습니다.

A3MU가 제 방 에이전트이고, A804NS-MU가 거실 에이전트입니다. 컨트롤러인 T5008은 단자함에 있습니다.

실선은 유선 기기들이고(PC 2대, NAS 1대), 점선은 무선 기기들입니다.

 

통상적으로 유선메시가 무선메시보다 안정성이 좋습니다.

그래서 단자함을 개방해 유선이지메시로 구성한 것입니다.

 

유선이지메시는 방별 포트를 통해 컨트롤러에 랜선으로 연결되어 이지메시를 구성하는 거고,

무선이지메시는 방별 포트를 사용하지 않고, 방별 공유기는 전원만 인가한 다음 무선으로 컨트롤러와 연결해 구성하는 겁니다. 무선은 주변 기기나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그런 환경에 민감하지 않은 유선이지메시가 안정적이라고 보는 겁니다. (전파교란 요인은 통신공학 전문서적을 참고하세요. 무선통신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필요한 부분이라 패스하겠습니다)

 

이지메시의 세부용어는 이렇습니다.

* 출처 : http://iptime.com/iptime/?pageid=1&page_id=67&mod=document&keyword=%EB%A9%94%EC%8B%9C&uid=21605 

ipTIME Easy MESH 기술지원자료

 

그리고 공유기별 메시의 기능지원 여부는 ipTIME 판매제품의 기능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iptime.com/iptime/etc/diff_prd.php 여기입니다.

 

세부 구축에 대한 실제는 네이버 카페 공유기사용자모임(http://cafe.naver.com/062samo )을 이용하세요. 글 띄우실 때에 집 도면과 면적, 단자함 상태 등을 올려주시면 능력자 회원님들께서 구성 조언을 더 잘 해주실 겁니다.

 

입문자분들 참고하시라고 올려 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