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구입 고민중입니다.

 

현재 쓰는 삼성 갤럭시 A8-2018(SM-A530NK)의 터치 불량이 잦아지고

Wi-Fi 접속시 느린 속도를 자랑(?)하게 되어 불편해졌습니다.

 

여기에 삼성이 일을 저질렀죠.

갤럭시 S22 성능조작사건이 폰을 바꾸기로 마음먹는 데에 일조합니다.

폭스바겐과 똑같은 짓거리를 한 탓에, 소액주주인 저로서는 대실망을 하였습니다. 이래저래 나라가 힘들 때에 뒤에서 힘도 보태고 해서 약간의 국뽕도 있었는데, 이제는 그 신뢰마저도 저버리게 만드셨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바꿀 폰이 없습니다.

국내 점유율 85%의 위업.

중화인민공화국 회사 제품을 쓰자니 솔직히 좀 찜찜합니다.

외산폰도 이젠 딱히 마음에 들지 않을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커져 버렸기에,

결국 高價의 아이폰에 마음이 갑니다.

 

전에 6S로 아이폰을 접해 봐서 OS 환경 적응 그런 거는 별로 상관 없습니다.

제가 데이터를 거의 안 쓰는 편이라 데이터를 꺼놓고 지내는데요, 우리나라는 정책상 MMS, LMS 송수신시 발생하는 미량의 데이터에 대해 요금을 부과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를 꺼 놔도 송수신에 문제가 없고, 송수신시 지가 알아서 꺼졌다 켜졌다 합니다.

하지만 아이폰은 미국 정책을 따른 폰이라 데이터를 안 켜 놓으면 MMS가 안 들어온다는 데에서 조금 주저했습니다.

근데 요즘 삼성폰으로 Wi-Fi랑 데이터를 같이 켜 놓고 써 보니, 데이터가 그리 많이 닳지 않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Wi-Fi 환경이 되면 자동으로 Wi-Fi를 잡고, 데이터는 백그라운드에 가만히 있더군요.

내가 뭐 게임하는 것도 아니고 해서요.

배터리는 신경쓰는 부분 중 하나라 눈여겨 보고

크기가 1순위라....전 작은 폰을 매우 선호합니다. 지금 폰도 크다고 느끼니까요.(5.6")

 

오늘 SE3이 나올 때까지 기다려보자 했는데

배터리가 SE2와 동일하게 1,821mA, 가격은 오히려 상승(64GB 기준 4만원 올라 59만원)했습니다. 내린다매!!!-_-;;

 

결국 고민하다가 13mini로 결정했습니다.

안드로이드에서 쓰던 앱들이 iOS에도 있을까 해서 아이폰 쓰는 분에게 부탁하여 조회해 봤는데, 전부 다 있었습니다.

전에 6S 쓸 때는 많이 없어서 아쉬웠는데 말이죠. 이 점은 다행입니다.

 

근데 가격이 참 문제니... 곁다리로 외산폰도 알아봤습니다.

Sony Xperia 10 III Mark3을 물망에 올렸는데, 지인들은 모두 아이폰13min 추천.-_-;; 그리고 LGU+망을 지원하지 않네요. 으휴... 알뜰폰 통신사 바꾸는 건 껌이지만, 갈만한 싼 요금제가 없다는 것도 문제.

구글 픽셀6은 AP가 엑시노스 계열인데 스냅드래곤 780이나 애플 A12보다 아랫급...

그래서 13mini로 잠정 결정했습니다.

 

지금 쓰는 갤럭시워치4는 어쩔 거냐는 지인의 물음이 있었는데,

제가 갤럭시워치4는 정확한 운동데이터 측정을 위해 산 거라, 폰하고 딱히 연결을 안 해요. 업데이트 때문에 연결해야 한다면 부모님 폰에 앱을 깔면 될 듯합니다. 아니면 지금 폰... 중고폰을 산 것이었고, 되팔면 가격이 더 떨어지는지라, 그냥 놓고 컨트롤러로 써도 될 것 같습니다.

 

이제 자금을 긁어모아봐야죠.ㅋ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독해 공부 변경  (0) 2022.03.19
스마트폰 교체  (0) 2022.03.15
집 LED 조명 일괄구입, 교체  (0) 2022.02.17
블로그 2개 운영은 힘들다.  (0) 2022.02.12
JLPT N2 청해 공부에 문제 발생  (0) 2022.02.11

현재 쓰는 폰이 삼성 SM-J530K(Galaxy J5 2017)입니다.

오늘자로 837일(2년 3개월 17일)째 쓰고 있습니다.

2017년 9월 경에 생산된 가개통폰을 오픈마켓에서 구입해 쓰고 있습니다.


폰에 대한 고민은 배터리 성능 저하로부터 시작됩니다.

뭐 Wi-Fi를 하루 종일 켜놓아서 그렇기도 하지만, 대체로 배터리 성능이 30~40% 정도 하락된 것으로 느껴집니다.


제가 쓰는 용도가 딱 한정되어 있는지라, 고성능 폰은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큰 폰도 필요가 없습니다. 5.3" 이내가 심리적 한계선입니다.

통화, 문자, 업무용 카카오톡, 업무용 사진 촬영. 이게 주 용도고

구글 지도 사용, 일본 전철노선도 사용. 이게 부 용도입니다. 1년에 2~3번 사용.

그래서 요금제도 최저가를 쓰고 있습니다.

월 6,600원의 정액제(통화 200분, 문자 200통, 데이터 2GB)로

한 달 평균 사용량은 이러합니다.

  통화 50분 내외(최대 약 80분)

  문자 150통 내외(업무 문자가 약 140통)

  데이터 300MB 내외(학원 수강시 외국어사전 사용만/ 나머지는 모두 Wi-Fi 사용)



1.

배터리는 내장형이나 부품이 남아 있는 한 교체가 가능합니다.

보통 제조사들이 2년 내외의 부품 보유 기간을 설정하고 있는 바, 현재 이 제품은 삼성전자서비스 콜센터랑 통화해보니 배터리 재고가 있다고 합니다.

교체공임 포함 33,000~34,000원선.


하지만 2년 넘게 쓰다 보니 느려졌다고 생각되는(정말 느려진 건가?) 부분이 없지 않게 있어 폰 교체도 고민을 합니다.

아주 빠른 건 원하지 않지만 조금 굼뜬 것을 해소할 수 있을 정도?


이 폰이 삼성 엑시노스 7870 옥타코어 CPU를 사용해서 성능이 비교적 준수합니다.

또한 보급기 J 시리즈인데 Wi-Fi도 802.11ac(5GHz)를 지원합니다. 그래서 좀 아쉬운 부분이기도 하죠. 바꾸기엔 시기상조가 아닌가.

배터리는 아직 좀 더 쓰고 바꿔도 되겠다 싶어 일단 교체를 보류한 상태입니다.


2.

이거랑 비슷한 급이 SM-A102N(Galaxy A10e)입니다.

엑시노스 7884 옥타코어 CPU에 5.8"인치인데 세로로 길어지다 보니 현재 제 폰과 크기상 큰 차이가 없습니다. 또한 베젤이 얇아져서 내부적으로 화면이 커졌다고 할까요.

아쉬운 점은 Wi-Fi가 802.11ac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하지만 새 폰(자급제)이 19만원이면 살 수 있다는 것과 어디든 서비스센터가 널렸다는 것이 심리적 만족감을 줍니다.

또한 그립감이 좋습니다. 통신사 대리점 가서 만져보니 그립감 하나는... 아이폰 따라갑니다.ㅎㅎ

처음엔 그냥 진짜 저렴이로 쓰자 해서 LG X2 2019를 봤습니다만, 스냅드래곤 425의 한계...로 주저하게 됩니다.


3.

그래서 아이폰도 보게 되죠.

새것을 살 돈은 없고, 배터리 교체된 중고품을 보는 거죠.

아이폰 4.7"가 이 제 심리적 한계선 안에서 가장 행복한 크기입니다.

아이폰7이나 8을 보는데, 아이폰8 64GB가 25만원 내외에서 구입 가능하더라고요.

전에 6S를 써 봤기에 배터리 효율성이나 어플리케이션의 깔끔함 등은 익히 알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처럼 부가적인 요소를 깔지 않아도 된다는 점,

월드 워런티(어느 나라를 가도 애플 호환품 구매에 대해서는 심리적 부담이 덜함. 가격 부담이 커서 그렇지.ㅋㅋ)

802.11ac도 지원하고요.


하지만 고장수리 비용은 안드로이드 대비 다소 높은 편이라는 점이 좀 아쉽고,

MMS, LMS 송수신 때에 반드시 데이터가 켜져 있어야 한다는 점이 가장 큰 아쉬움...

(MMS, LMS 송수신시 극미량의 데이터가 사용된다는 점에 있어 미국 통신사와 한국 통신사의 관점이 다름. 미국은 '무조건 유료!' / 한국은 '그정도는 서비스지!')

기존 안드로이드 폰에서의 데이터 이동도 그렇고요.

SE2가 조만간 나올 것이라는 보도도 있고 해서 일단은 좀 더 지켜보고 있습니다.


당분간은 계속 고민이 있을 것 같습니다.

정말 폰은 2년에 1번꼴로 바꾸는 게 맞는 건지...

+ Recent posts